자동차 정비 공부/제동장치

ABS(Anti-lock Brake System)

기름냄시 2022. 10. 11. 05:41

자동차가 주행 중 제동할 경우 조향력 확보와 방향 안정성 및 제동거리 확보가
자동차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. 

보통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 바퀴 4개에 각각 실리는 무게는 다 다르다.

이런 상태에서 급제동을 하면 일부 바퀴에서 로크업(Lock-up)현상, 즉 바퀴가 잠기는 현상이 발생한다.
 이것은 차량은 여전히 진행하고 있는데도 바퀴는 완전히 멈춰 선 상태를 말하는데,

이때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옆으로 밀려 운전자가 차의 방향을 제대로 제어할 수 없게 된다.
 
비슷한 예로 자전거를 타고 달리다가 뒷 브레이크를 꽉 잡으면
뒷바퀴가 멈추면서 미끄러지는 것과 비슷하다.

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바퀴가 잠기지 않게 브레이크를 밟았다 떼었다를 반복해주어야 하는데
이 역할을 전자제어장치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1초에 10회 이상 반복되면서
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.

ABS의 주요 구성에는 휠 스피드 센서(Wheel Speed Sensor), ECU, 하이드롤릭 유닛(Hydraulic Unit),

PTS(Pedal Travel Switch)-브레이크 밟은 정도를 감지 등이 있다.

ABS의 기능,원리 설명과 실험을 한 영상이다.

 

https://youtu.be/mKiTAcXK6M4

 

 

ABS를 응용한 여러 가지 기능들이 더 있는데 ECS, ECP, TCS 등등
비슷한 기능에 같은 뜻을 메이커마다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고,
거의 기본 원리는 비슷하다고 보면된다.

'자동차 정비 공부 > 제동장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SP, LSPV,P밸브(안전 실린더)  (0) 2022.10.11